수척해진 어린이가 바르샤바 게토의 길거리에서 음식을 먹는 모습. 폴란드, 바르샤바, 1940년부터 1943년 사이.
아이템 보기인더스도르프 수도원 어린이집의 소녀. 이 사진은 생존 가족을 찾아주기 위하여 촬영되었다. 생존 가족을 찾아 주기 위하여 유태인과 비 유태인 어린이들의 사진을 찍어 신문에 공고하였다. 독일, 1945년 5월 이후.
아이템 보기게토의 길거리에서 음식을 먹는 어린이들. 폴란드, 바르샤바, 1940년부터 1943년.
아이템 보기게토의 중앙에 위치한 감옥의 울타리를 통하여 어린아이와 작별하는 가족들. 이 중앙에 위치한 감옥은 “게스페르(Gehsperre)” 작전 과정에서 어린이들과 병자들 그리고 노약자들을 헤움노(Chelmno)로 수송하기 전에 임시로 수용하는 장소였다. 폴란드, 로츠, 1942년 9월.
아이템 보기1942년 “게스페르(Gehsperre)” 작전 중, 폴란드의 로츠 게토에서 실시된 유태인 어린이의 수송.
아이템 보기코프노 게토에서 찍은 가족 사진의 두 어린 형제. 한 달 후, 그들은 마이다네크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리투아니아, 코프노, 1944년 2월.
아이템 보기수용소 해방 직후,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생존자 어린이들이 어린이 막사로부터 걸어 나오고 있다. 폴란드, 1945년 1월 27일 이후.
아이템 보기해방 직후, 부헨발트의 “어린이 블록 66”-어린이를 위한 특별 막사. 독일, 1945년 4월 11일 이후.
아이템 보기르 샹봉 쉬르 리니옹 마을의 개신교도들의 도움으로 보호된 유태인 어린이들. 프랑스, 1941년부터 1944년 사이.
아이템 보기브루노 신부(Father Bruno)와 그가 독일인으로부터 숨겨준 유태인 어린이들. 이후에 야드 바셈(Yad Vashem)은 브루노 신부(Father Bruno)를 “나라의 의로운 사람” 으로 추대하였다. 벨기에, 전쟁 중.
아이템 보기코프노 게토를 빠져 나가기 직전의 어린 사촌 자매 두명. 리투아니아 가족들이 이들을 숨겨 주었으며, 이 두 어린 소녀들은 전쟁 중에 살아남았다. 리투아니아, 코프노, 1943년 8월.
아이템 보기바드 라이헨할 난민 수용소의 어린이들. 독일, 1945년.
아이템 보기팔레스타인으로 가기 위해 독일 내 미군 점령지에 모인 유태인 난민 어린이들. 이들 중 한 난민이 시온주의자 깃발을 흔들고 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1946년 4월 10일.
아이템 보기팔레스타인으로 향하는 알리야 베트(“불법” 이민)에 참여하기 위하여 마르세이유 기차역에 도착한 독일계 유태인 고아. 프랑스, 마르세이유, 1948년 3월 25일.
아이템 보기We would like to thank Crown Family Philanthropies and the Abe and Ida Cooper Foundation for supporting the ongoing work to create content and resources for the Holocaust Encyclopedia. View the list of all don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