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th Kohn (top row, second from left) and her classmates at a school in Prague.

홀로코스트가 발생하기 전 유럽에서 유태인의 삶

1933년 독일에서 나치가 세력을 얻기 시작했을 무렵유태인들은 유럽전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앞으로 독일에의해 점령될 나라들에는 대략 900만명의 유태인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쟁이 끝날 즈음, 이들 유태인들중 2/3가 사망하고, 유럽에서 유태인들의 삶은 영원히 바뀌게 된다.

1933년 폴란드, 소련, 헝가리 및 루마니아를 비롯한 동유럽 지역에 가장 많은 유태인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이들동유럽 유태인들 대부분은 주로 유태인 촌(shtetls)이라고 불리우는 유태인 마을에 모여 살았다. 동유럽 유태인들은 주류 사회의 문화 내에서 소수 민족으로 그들 나름대로의 삶을 살고 있었다. 그들은 독일어와 히브리어가 조합된 이디시어(Yiddish)라는 자체적인 언어를 사용했다. 이들은 이디시어 책을 읽고, 이디시어 극장과 영화도 즐겼다. 대부분의 젊은 유태인들은 현대식 생활 방식과 옷차림을 채택하기 시작했지만, 노인들은 전통적인 옷차림을 고수하며 남성들은 모자를 쓰고 여성들은 수수한 옷차림에 머리를 가발이나 수건으로 가렸다.

반면,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및 네덜란드 등지의 서유럽에 거주하던 유태인들은 그들의 인구수가 적었기 때문에 유태인이 아닌 이웃의 문화를 수용하는 편이었다. 이들은 다른 사람들과 같이 옷을 입고 대화를 했으며, 전통적인 종교 행사와 이디시어 문화는 그들의 삶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지 못했다. 이들은 동유럽 유태인들보다 더 많은 정규 교육을 받고 도시에 거주하는 경향이 많았다.

유태인들은 농부, 재단사, 재봉사, 직공, 회계사, 의사, 교사 및 소상인 등과 같이 모든 분야에 진출했다. 이 중에는 부자가 된 사람들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난했다. 많은 청소년들은 기술자 또는 상인으로 일하기 위해 공부를 일찍 마쳤지만, 대학교로 진학하기 위해 계속 공부하는 청소년들도 있었다. 이들의 차이점이 무엇이든 상관 없이 하나의 공통점이 있었다: 1930년경 나치가 독일에서 세력을 얻기 시작함에 따라 이들은 모두 잠재적인 희생자들이 되었고, 그들의 삶이 영원히 변하게 되었다.

Thank you for supporting our work

We would like to thank Crown Family Philanthropies, Abe and Ida Cooper Foundation, the Claims Conference, EVZ, and BMF for supporting the ongoing work to create content and resources for the Holocaust Encyclopedia. View the list of all donors.

용어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