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용소 해방 직후,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생존자 어린이들이 어린이 막사로부터 걸어 나오고 있다. 폴란드, 1945년 1월 27일 이후.
아이템 보기새로 온 미국 이민자를 위한 교실. 종전 후.
아이템 보기국제 연합 구제 부흥 사업국(United Nations Relief and Rehabilitation Administration)과 유태인 공동 분포 위원회(Joint Distribution Committee)가 구호 활동을 펼치고 있는 바벤하우젠 난민 수용소에 도착한 폴란드 유태인 난민들. 독일, 1947년 8월 20일.
아이템 보기하이파 항구에 닻을 내린 알리야 베트(“불법” 이민) 선박인 “여호수아 웨지우드”호 난간에 운집한 난민들. 영국 군인들이 이 승객들을 에트리트 억류 센터로 이송시켰다. 팔레스타인, 1946년 6월 27일.
아이템 보기랜스버그 난민 수용소에 위치한 ORT (Organization for Rehabilitation through Training, 훈련을 통한 재활 기관) 자동차 정비 클래스. 독일, 종전 후.
아이템 보기유태인 난민 수용소 ORT (Organization for Rehabilitation through Training, 훈련을 통한 재활 기관) 재봉 클래스 독일, 랜스버그, 1945년부터 1947년 사이.
아이템 보기바드 라이헨할 난민 수용소의 어린이들. 독일, 1945년.
아이템 보기브리하(Brihah, 전쟁 후 발생한 동부 유럽 유태인들의 대규모 이주)의 일환으로 미국 점령지의 난민 수용소로 가기 위해서 빽빽한 트럭을 타고 가고 있는 유태인 난민들. 독일, 1945년 또는 1946년.
아이템 보기회복 요양원의 유태인 여성 생존자들. 스웨덴, 1946년
아이템 보기해방 직후 영국 여성이 수용소 생존자들의 신발 신는 일을 도와 주고 있다. 독일, 베르겐-벨젠, 1945년 5월 이후.
아이템 보기해방 직후 수용소 생존자들이 진료를 받고 있다. 독일, 베르겐-벨젠, 1945년 4월 15일 이후.
아이템 보기마우트하우젠 수용소 해방 직후, 시체 더미. 오스트리아, 1945년 5월 5일 이후.
아이템 보기부헨발트 집단 수용소의 수척한 생존자. 수용소 해방 직후. 독일, 1945년 4월 11일 이후.
아이템 보기해방 직후 수용소 생존자. 독일, 베르겐-벨젠, 1945년 4월 12일 이후.
아이템 보기We would like to thank Crown Family Philanthropies and the Abe and Ida Cooper Foundation for supporting the ongoing work to create content and resources for the Holocaust Encyclopedia. View the list of all don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