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3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 독일은 수백만의 희생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약 20,000개소의 수용소를 건설하였다. 이러한 수용소들은 강제 노동 수용소, 죄수들을 임시로 수용하는 임시 수용소 그리고 대량 학살을 일차 목적으로 하거나 대량 학살만을 위하여 지어진 집단 학살 수용소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독일과 그 동조자들은 집단 학살 수용소에서만 3백만 이상의 유태인을…
1933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 독일은 수백만의 희생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약 20,000개소의 수용소를 건설하였다. 이러한 수용소들은 강제 노동 수용소, 죄수들을 임시로 수용하는 임시 수용소 그리고 대량 학살을 일차 목적으로 하거나 대량 학살만을 위하여 지어진 집단 학살 수용소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나치의 영향력이 높아지기 시작한 1933년부터 나치 정권은 소위…
나치 수용소 시스템은 나치 제국의 정치적 반대 세력을 탄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제3제국의 처음 몇 년간 나치는 주로 공산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을 투옥시켰다. 1935년경부터 나치 제국은 자신들이 인종적으로 또는 유전학적으로 열등하다고 지정한 사람들, 특히 유태인들을 투옥시키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진행되는 동안, 나치 수용소의 조직과 규모가 급속하게…
연합군은 연속되는 나치 독일의 공격을 뚫고 유럽의 곳곳으로 진군하면서 기아와 질병으로 고통 받고 있는 수만 명의 집단 수용소 수감자들과 마주치기 시작했다. 이러한 수용소들의 해방 이후에야 비로소 수감자들의 끔찍한 전모가 세상에 노출된 것이다. 주요 나치 수용소에 처음으로 접근한 군대는 소련군으로서 1944년 7월, 폴란드 루블린 부근의 마이다네크 수용소에 다다랐다.…
연합군은 연속되는 나치 독일의 공격을 뚫고 유럽의 곳곳으로 진군하면서 수만 명의 집단 수용소 수감자들과 마주치기 시작했다. 이러한 수감자들의 대다수는 폴란드 내 독일 점령지에 위치한 수용소에서 독일 국내의 수용소로 강제 행군을 살아남은 사람들이었다. 당시 수감자들은 굶주림과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었다. 주요 나치 수용소에 처음으로 접근한 군대는 소련군으로서…
홀로코스트 홀로코스트는 인간의 본성뿐 아니라 서구 문명과 국가, 현대의 관료 사회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사건이다. 이는 사전 계획에 의해서 실행된 수백만의 무고한 시민에 대한 대량 학살이다. 유태인들을 "사회적 기생충”이며 오로지 척결의 대상으로만 여겼던 인종차별적 이데올로기에 사로잡힌 나치는 상상할 수 없는 규모의 민족말살을…
나치 인종주의 아돌프 히틀러는 독일 총리가 되기 수년 전부터 인종주의에 사로잡혀 있었다. 히틀러는 그의 연설과 저술에서 자신이 말하는 아리아인 "우수 인종"인 "독일 인종"의 "순수성"과 우월성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역설했다. 그는 언젠가 세계를 점령하는 날을 위해 자신의 인종이 순수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천명했다. 히틀러가 말하는 이상적인 "아리아인"은 금발에, 파란 눈,…
1933년 1월 아돌프 히틀러가 독일의 수상이 된 후, 히틀러는 독일을 신속하게 일당 독재로 전환하고 나치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필요한 경찰력을 조직하기 시작했다. 히틀러는 내각에 국가 비상 사태를 선언하고 출판, 언론 및 집회의 자유를 포함하는 개인의 자유를 금지시키도록 촉구했다. 개인의 프라이버시 실권은 해당 공무원이 사람들의 편지를 읽을 수 있고, 전화 통화를 엿들을 수…
1033년 1월 30일 아돌프 히틀러가 독일 수상에 임명되면서 독일 민주주의는 막을 내렸다. 인종차별주의와 독재주의 사상을 따라 나치는 기본적인 자유를 말살하고 "민족" 커뮤니티의 구현을 모색했다. 이론적으로 "민족" 커뮤니티는 히틀러를 배후로 독일의 모든 사회 계층과 종교를 통합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제3제국은 짧은 기간에 개인을 무작위로 체포하고 감금하는 경찰…
해방 후, 연합국들은 유태인 난민들(DPs)을 그들의 고향으로 재배치할 준비를 하였으나, 많은 난민들이 이를 거부하거나 돌아가기를 두려워했다. 1945 년에서 1952년까지, 250,000 명 이상의 유태인 난민들이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의 수용소와 도심의 전용 시설에서 거주했다. 이런 시설들은 연합국 정부와 연합국 구제 부흥 기관의 관리를 받았다. 생존자들은 가족을 찾기 시작했다.…
We would like to thank Crown Family Philanthropies and the Abe and Ida Cooper Foundation for supporting the ongoing work to create content and resources for the Holocaust Encyclopedia. View the list of all don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