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일리히는 모스크바에서 동쪽으로 35마일 떨어진 작은 유태인 집단촌인 클라우젠에 거주하던 유태인 부모에게 태어난 세 명의 자녀 중 둘째이다. 마일리히의 아버지는 통행량이 많은 주 도로에 위치한 도매 식품점, 레스토랑 및 주유소를 소유하고 있었다. 마일리히는 공립 초등 학교를 다녔고 종교 수업도 받았다.
1933-39: 내 친구인 민델리, 사라, 아담, 그리고 나는 정치에 대해 토의하기 좋아했다. 우리는 폴란드가 독일 탱크는 종이로 만들었다고 선전하는 것을 들었다. 그 다음에, 19살이 되던 해 전쟁이 터졌다. 아버지, 형제, 그리고 나는 독일이 우리를 강제 노동에 보낼 것을 두려워하면서 소련을 향해 동쪽으로 피난갔다. 그러나 클라우젠에서 전투가 있었다는 소식을 듣고는 다시 집으로 향했다. 우리는 어머니가 무사한 것을 발견했다.
1940-44: 독일군이 강제 노동 수용소로 보낼 유태인 남자들을 잡아 들인다는 소식을 듣고는 1942년 말 클라우젠 게토를 빠져 나왔다. 사촌들과 함께 지낼 생각에 바르샤바 게토에 몰래 숨어 들었지만, 1943년 1월 18일, 독일군에 잡혀서 트레블링카 학살 수용소로 향하는 가축 운반 열차에 실렸다. 열차는 상당히 빨리 움직였으며, 열차 지붕에는 경비대가 지키고 있어서 도망자에게 기관총을 발사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래도 나는 위험을 감행하기로 했다. 내 앞에서 누군가 뛰어 내렸다. 그 다음은 내 차례였다.
마일리히는 다치지 않고 뛰어 내렸으며 도보로 바르샤바까지 돌아갔다. 그는 나중에 마이다네크 및 아우슈비츠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종전 후 그는 미국으로 이주했다.
아이템 보기가토는 부다페스트로부터 5마일 떨어진 우이페쉬트에서 가구점과 목재 하치장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던 유태인 가정에 태어난 5명의 자녀 중 네째였다. 어린 소녀인 가토는 큰 저택에서 가족 "오케스트라"와 함께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노래를 부르는 것을 좋아했다. 그녀는 운동에서 소질이 있어서 수영, 사이클 및 테니스를 즐겼다. 무엇보다도, 가토는 다뉴브 강에서 친구들과 조정을 즐겼다.
1933-39: 결혼한 나는 부다페스트 북동부에서 유태인 가정이 대여섯개 정도 있던 작은 마을인 자길바팔팔바로 이사했다. 남편은 여기에서 대형 상점을 운영했고 나는 카운터에서 일했다. 1939년이 되기까지는 우리는 공증인, 우체국장 및 다른 친구들과 함께 소풍과 여행을 즐겼다. 1939년 부터 나치 청년들이 반유태주의 슬로건을 외치고 밤에는 유리창을 두들기면서 우리를 공포로 몰아 넣었다. 이들 중 하나는 공증인의 청소년 아들 이었다다.
1940-44: 1944년 3월 19일, 독일군이 헝가리를 침공했다. 몇 개월 뒤에 어린 아들과 나는 이송되었다. 숨막히는 가축 운반차에 끼여서 3일간 악몽의 시간을 보내는 동안, 나는 산도르에게 모유를 먹이면서 모유가 말라버린 친구의 아이에게도 모유를 먹였다. 아우슈비츠에 도착해서 기차에서 내리는 것을 도와주던 한 남자는 "아이를 노파에게 맡겨서 당신이 일하는 동안 그녀가 아이를 돌볼 수 있도록 해요. 아이는 저녁에 다시 만날 수 있을 거에요"라고 속삭였다. 나는 이 말에 위안을 얻고는 사니카를 한 노파에게 건네면서 잘 돌봐주도록 부탁했다.
34세였던 가토는 강제 노동에 징집되었다. 그녀는 간난 아기들과 노인들은 도착 즉시 가스실에서 학살되었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되었다. 가토는 1945년 마우트하우젠 수용소에서 해방되었다.
아이템 보기주자나는 코시에서 헝가리어를 구사하는 유태인 부모에게 태어난 3명의 자녀 중 막내였다. 그녀는 가족의 어린 아이였기 때문에 주지라고 불렸다. 그녀의 아버지는 그루엔버거 아파트에 일터를 둔 양복 재단사였다.
1933-39: 주자나가 5살이 되던 1938년 11월, 헝가리 군대가 코시로 진군해서 점령했다. 헝가리인은 도시 이름을 카사라고 변경했다. 헝가리 정부는 나치 독일에 우호적이었으며 코시에 반유태인 법을 적용했다.
1940-44: 주자나가 학교를 다니기 시작한 후 1년이 지난 1941년, 헝가리군은 그루엔버거 가족과 기타 유태인 가족을 헝가리의 다른 쪽에 있는 수용소로 옮겼다. 그루엔버거 가족은 다음 봄에 석방되어 코시로 돌아왔지만, 주자나의 오빠와 아버지는 강제 노동을 위해 곧바로 체포되었다. 1944년 주자나, 어머니 및 언니를 비롯하여 코시의 1만 2,000명 유태인들은 독일군에 협조적이었던 헝가리군에게 붙잡혔다. 디들은 도시 외곽의 벽돌 공장으로 보내졌고 아우슈비츠로 향하는 기차에 실렸다.
1944년 5월 주자나와 어머니는 아우슈비트에 도착하는 즉시 독가스로 학살되었다. 주자나의 나이 11세였다.
아이템 보기블라드카는 분트(Bund, 유태인 사회당)의 주쿤프트(Zukunft) 청년 단원 소속이었다. 그녀는 유태인 투쟁 단체(Jewish Fighting Organization, ZOB)의 일원으로 바르샤바 게토 지하 조직에서 활발히 활동하였다. 1942년 12월, 그녀는 무기를 구하고 어린이와 어른들의 은신처를 물색하기 위하여 바르샤바의 폴란드 쪽 지역인 아리안으로 잠입하였다. 그녀는 수용소, 숲, 그리고 다른 지역 게토의 유태인과 유태인 지하 조직을 위한 밀사으로 적극 활동하였다.
아이템 보기1938년 크리슈탈나하트("깨진 유리의 밤"이라는 뜻) 이후로 루스는 네덜란드로 이주하였다. 그녀와 아버지는 미국으로 올 수 있는 허가를 받았으나, 1940년 독일이 네덜란드를 침공함으로써 그들은 떠날 수가 없었다. 루스는 1943년에 웨스터보르크 수용소로 이송되었다가, 1944년에 베르겐-벨젠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연합국과의 교환 합의가 결렬된 후, 1945년 프랑스군에 의해서 해방될 때까지 루스는 스위스 국경 지역에서 노동을 하였다.
아이템 보기1944년 3월, 독일의 헝거리 점령과 함께 바르트(Bart)의 가족은 그의 고향에 세워진 게토에서 살도록 명령받았다. 1944년 5월부터 7월까지 독일인들은 헝가리의 유태인들을 폴란드 점령지 내에 세워진 아우슈비츠 집단 학살 수용소로 이송하였다. 바트 역시 가축 수송 차량을 타고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다. 아우슈비츠에 있을 때, 그는 탄광에서 드릴이나 곡괭이로 석탄을 캐는 강제 노동에 차출되었다. 1945년 1월, 소련군이 아우슈비츠로 진격하였을 때 독일군은 대부분의 수감자들을 죽음의 행진으로 내몰았다. 의무실에 수용되어 있던 아픈 수감자들과 함께 바트는 해방 당시 수용소에 남아 있던 몇 안 되는 수감자들 중 하나였다.
아이템 보기We would like to thank Crown Family Philanthropies and the Abe and Ida Cooper Foundation for supporting the ongoing work to create content and resources for the Holocaust Encyclopedia. View the list of all don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