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드리히-파울은 독일 북부의 오래된 무역 도시 루에베크에서 태어났다. 그가 11살이 되던 해에 그의 아버지는 제1차 세계대전에서 전사했다. 그의 어머니마저 세상을 떠나자 그와 여동생 이나는 두 명의 이모로부터 보살핌을 받았다. 프리드리히-파울은 학교를 졸업한 후에 상인이 되는 훈련을 받았다.
1933-39: 1937년 1월, SS는 나치가 개정한 형법 제175조에 따라 동성애 금지를 위반한 혐의로 루에베크에서 230명의 남성을 체포했는데, 나도 10개월간 복역했다. 나치는 동성애자에 대한 대규모 체포에 형법 제175조를 사용해 왔었다. 1938년 나는 다시 체포되어 치욕과 고문을 당했다. 나치는 내가 거세수술에 동의한다는 조건 하에 나를 석방했다. 나는 수술을 받았다.
1940-44: 수술을 받았기 때문에 1940년 군복무를 자원했을 때 "신체적 부적격자"라는 이유로 거절당했다. 1943년 나는 다시 체포되었는데, 전 카이저 빌헤름 2세를 지지하는 군주제 신봉자라는 이유였다. 나치는 루에베크에 있는 누엔가메 집단 수용소에 부속된 정치범 수용소에 나를 투옥시켰다.
전쟁이 끝난 후, 프리드리히-파울은 함부르크에 정착했다.
아이템 보기원래 이름이 마틴 호이어였던 로버트는 배우 및 음악가로의 경력을 시작하면서 예명으로 로버트 T. 오데만으로 개명했다. 클래식 피아니스트였던 로버트는 유럽 전역에서 콘서트를 열었지만, 손 부상으로 인해 콘서트를 그만두게 되었다.
1933-39: 1935년 로버트는 함부르크에서 카바레를 개업했다. 1년 후 나치는 그의 카바레를 폐쇄하고 체제 전복 행위로 기소했다. 그 후 로버트는 베를린으로 이주하면서 남자 친구와 깊은 사이로 사귀었는데 그 친구는 게슈타포로부터 로버트를 고발하라는 강압을 받고 있었다. 1937년 11월, 로버트는 나치가 개정한 형법 제175조인 동성애 금지 조항을 위반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그는 27개월 징역형을 선고 받았다.
1940-44: 로버트는 1940년에 석방되었지만 경찰의 감시를 받았다. 그들은 로버트가 뮌헨에 있는 혼혈 유대계 친구 및 해외 친구들과 주고 받는 편지들을 검열하였다. 1942년 로버트는 형법 제175조에 따라 다시 체포되어 작센 하우젠 집단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여기에서 그는 사무직을 배정받았다. 1945년 4월 수용소에서 발트 해로 향하는 강제 행진 중에, 40세 로버트는 다른 두명의 "175조 위반자"들과 함께 탈출했다.
종전 후 로버트는 베를린으로 돌아와서 작가 및 작곡자로의 활동을 계속했다. 그는 1985년에 사망했다.
아이템 보기1919년, 로베르트(Robert)와 그의 동생 카알(Karl)은 쾰론 지역에서 네로테르 번드 청년단을 조직하였다. 독일의 다른 청년단과 마찬가지로 그들의 조직 역시 캠핑과 하이킹을 통하여 청소년들이 자연과 좀더 가까워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동성애적 관계는 가끔 청소년기의 소년들의 우애를 통해서 발전하기도 하였는데, 네로테르 번드 청년단은 당시 다른 독일 청년단과 같이 그러한 관계를 인정하기도 하였다.
1933-39: 1933년 나치가 집권하기 시작한 직후, 그들은 모든 독립적인 청년단을 해체하고 청소년들이 히틀러 청년 운동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로베르트는 이를 거부하고 비밀리에 네로테르 번드 청년단의 관계를 지속시켰다. 1936년, 그는 나치 형사법 제 175항인 동성애 금지 조항을 위반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로베르트는 다른 13명의 네로테르 번드 단원들과 함께 수감되었다.
1940-41: 로베르트는 나치 통치 하에서 175 조항을 위반하여 유죄 판결을 받은 50,000명 이상의 죄수 중 한 명이 되었다. 1941년 경, 그는 다하우 집단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수용소 내의 다른 “175항 범법자들”과 마찬가지로 로베르트는 분홍색 삼각형으로 표시된 유니폼을 착용해야 했다. 이러한 “175항 범법자들”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막사에서 생활하며 특별히 가혹한 대우를 받았으며 다른 수감자들로부터 배척을 받기도 했다.
1941년, 로베르트는 다하우에서 44세의 나이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그의 자세한 사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아이템 보기해리는 베를린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면서 극장을 좋아하기 시작했다. 그는 15세 때 놀렌도르프에 있는 극장에서 조연으로 연극을 시작했다. 미용사의 견습생도 되었지만 이 일을 싫어했다. 그는 대부분의 시간을 동성애자가 모이는 나이트클럽과 극장에서 다른 배우와 함께 보냈다.
1933-39: 나치는 권력을 잡으면서 게이 바를 폐쇄했다. 일부 동성애자, 특히 유태인 동성애자는 나치 훌리건에 의해 살해되었다. 나의 드래그 퀸(여장 남자)인 "수지"도 칼에 찔려 죽었다. 1936년, 나는 나치가 개정한 형법 제175조인 동성애 금지 조항을 위반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나는 노이주슈트룸의 수용소에 수감되어 하루 12시간 습지대에서 일했다. 15개월 후에 석방되었다.
1940-44: 1943년 나는 게슈타포의 강압에 못 이겨 증언한 2명의 소년에 의해 동성애자로 고발되었다. 또 다시 형법 제175조에 따라 선고를 받았다. 이번에는 극장에 있는 친구들이 나를 위해 중재에 나서서 8개월만 복역하게 되었다. 다시 군대로 징집되었지만 내가 어디를 가든 사람들이 나의 175조 판결을 알고는 "지저분한 놈"이라고 불렀다. 이것을 견딜 수 없어서 두 번이나 탈영했다. 최종 선고에서 특수 전투 부대로 보내지게 되는데 여기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죽었다. 나는 어떻게 살아 남게 되었다.
종전 후 해리는 작은 극장 운영을 시작했다.
아이템 보기칼은 독일 북부 항구 함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미국인이었고 어머니는 독일인이었다. 칼이 태어난 직후, 그의 아버지는 미국으로 돌아갔고, 얼마 후에 그의 부모는 이혼했다. 칼은 14세에 퇴학하고 견습공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1933-39: 1935년 내가 15세 아이와 은밀하게 만나고 있다는 사실을 제보자가 경찰에 신고하는 바람에 나는 동성애를 "비정상적" 행동으로 규정한 형법 제175조의 위반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이 법은 수 년간 법전에 기록되어 있던 것이지만, 나치는 그 적용 범위를 확대해서 동성애자를 대량으로 체포하기 위한 근간으로 이용했다. 나는 15개월 후에 석방되었지만 1937년에 다시 체포되어 수감되었다.
1940-44: 1943년 함부르크는 연합군의 맹렬한 폭격 대상이었지만 내가 "보안상 이유"로 6개월간 수감되었던 푈스뷔텔 감옥은 폭격을 맞지 않았다. 이 기간에 많은 수감자들이 뉘엔가메 집단 수용소로 이송되었지만 나는 작센의 발트하임 감옥으로 보내진 수감자 그룹에 포함되었다. 그곳에서 신경 쇠약에 걸려서 교도소 병원으로 보내졌다. 연합군이 가까이 오자 다른 많은 수감자들은 전쟁에 투입되어 전선에서 사망했기 때문에 나는 상당히 운이 좋았던 셈이다.
종전 후 칼은 함부르크의 은행에 취직했지만, 18개월 후에 그가 형법 제175조를 위반해서 수감된 사실이 고용주에게 알려진 후에 해고되었다.
아이템 보기칼은 독일 북부의 바트 츠비쉐난에서 태어났다. 2살이 되던 해에 가족이 브레머하펜 항구로 이사했다. 그녀의 아버지는 선원이었고 어머니는 지역 병원의 간호사였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칼은 어머니와 계속 살았다. 칼은 20세가 되던 해에 교구 교회에서 부제로 훈련을 받기 시작했다.
1933-39: 내가 26세 되었을 때 질투심 많은 연인이 나에게 결별을 통보했고, 나는 동성애를 "비자연적인" 행동으로 규정한 형법 제175조에 따라 집에 감금되어 있었다. 이 법은 수 년간 법전에 기록되어 있던 것이지만, 나치는 그 적용 범위를 확대해서 동성애자를 대량으로 체포하기 위한 근간으로 이용했다. 나는 함부르크 근처의 뉘엔가메 집단 수용소에 수감되었는데, 여기에서는 "175 위법자"들이 핑크색 삼각형을 착용하고 있어야 했다.
1940-44: 나는 간호사로 훈련을 받은 적이 있기 때문에 비텐베르크 부속 수용소의 수감자 병원에서 일하도록 이송되었다. 하루는 경비대가 폴란드 전쟁 포로 수감자에게 빵 배급을 줄이도록 명령을 했지만, 나는 폴란드인을 이렇게 취급하는 것은 비인간적이라고 말하면서 거절했다. 이것에 대한 보복으로 나는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는데, 이번에는 "175 위반자"임이 표시된 것을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범이라는 의미의 빨간색 삼각형을 착용했다. 아우슈비츠에서는 폴란드인과 연인 관계가 되었는데, 그의 이름은 츠비그니브였다.
칼은 1945년 아우슈비츠에서 해방되었다. 그는 전쟁이 끝난 후에도 제175조에 의거한 판결 기록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아이템 보기
We would like to thank Crown Family Philanthropies, Abe and Ida Cooper Foundation, the Claims Conference, EVZ, and BMF for supporting the ongoing work to create content and resources for the Holocaust Encyclopedia. View the list of donor acknowled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