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아(Leah)는 폴란드 바르샤바 외곽의 프라가에서 자랐다. 그녀는 하-쇼머 하-차이르 시온(Ha-Shomer ha-Tsa'ir Zionist) 청년단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1939년 9월, 독일은 폴란드를 침공하였다. 유태인들은 바르샤바의 게토에서 생활하도록 강요받았다. 1940년, 독일은 게토를 폐쇄하였다. 게토에서 레아는 하-쇼머 하-차이르 회원들과 함께 살았다. 1941년 9월, 그녀와 다른 청년단 회원들은 게토를 탈출하여 폴란드 체스토쵸바 인근 자르키의 하-쇼머 하-차이르 농장으로 갔다. 1942년 5월, 레아는 지하 조직의 밀사가 되어 위조 폴란드 서류를 가지고 크라쿠프 게토와 플라소우 수용소 인근 사이에서 활동하였다. 상황이 악화되자, 그녀는 타르노바로 탈출하였으나 이내 다시 크라쿠프로 돌아가기로 결정하였다. 또한 레아는 체스토쵸바와 바르샤바에서 비 유태인 행세를 하면서 유태인 국가 위원회(Jewish National Committee)와 유태인 투쟁 단체(Jewish Fighting Organization, ZOB)의 일원으로 활약하였다. 1941년, 바르샤바에서 일어난 폴란드인의 폭동에서 그녀는 아르미아 루도바(인민 군대) 유태인 부대에 가담하여 싸웠다. 레아는 소련군에 의하여 해방되었다. 전쟁이 끝나고, 그녀는 폴란드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을 돕는 활동을 하다가 이스라엘로 이주한 후, 이후 미국에 정착하였다.
아이템 보기1942년, 샘(Sam)은 그의 고향에 있는 게토로 이주하도록 명령을 받고 군수품 공장에서 노동을 하도록 배정받았다. 1944년, 그는 아우슈비츠로 수송되어 기차 공장에서 강제 노동을 했다. 그는 나치에 의해 진행된 아우슈비츠 퇴거 이후 진행된 8일간의 죽음의 행군에서 살아남았다. 그는 1945년 1월, 소련군에 의해서 해방되어 독일 난민 수용소에서 생활하였는데, 거기서 그는 국제 연합 구제 부흥 사업국에서 일하였다. 1947년, 그는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아이템 보기마델리네(Madeline)는 1938년-1939년 헝가리에 부속된 체코슬로바키아 지역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가내 수공업자로 일했고 어머니는 가정 주부였다. 마델리네는 고등학교에 재학하였다. 1944년, 그녀의 가족은 헝가리 게토로 이주하도록 명령받았다. 가족들은 게토에서 2주일을 지낸 후,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다. 이 과정에서 마델리네와 어머니는 아버지와 오빠들과 헤어졌다. 그녀의 아버지와 오빠들은 전쟁에서 살아남지 못했다. 아우슈비츠에 도착해서 1주일 후, 마델리네와 어머니는 브레슬라우의 군수품 공장에서 일하도록 보내졌다. 그들은 그로스-로젠의 페터슈발다우 보조 수용소에 1년간 머물다가 1945년 5월, 소련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마델리네와 어머니는 미국 이민 비자를 신청하는 기간 동안 뮌헨의 난민 수용소에 머물렀다. 1949년 3월, 그들은 뉴욕에 도착하였다.
아이템 보기게르다(Gerda)는 독일의 안스바흐라는 작은 마을의 종교적인 집안에서 자랐다. 게르다의 아버지는 유태인 정육점 주인이었다. 게르다는 1936년까지 독일 학교를 다니다가 유태인 학교를 다니기 위해 베를린으로 이사를 왔다. 1938년 11월, 수정의 밤(Kristallnacht) 이후에 그녀는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녀의 가족들은 뮌헨으로 이주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리고 1939년 7월, 그녀의 아버지는 영국으로 떠났다가 미국으로 이주했다. 하지만, 아버지는 나머지 가족들을 미국으로 올 수 있도록 하지 못했다. 1939년, 게르다는 간호학을 공부하기 위해 베를린으로 옮겼다. 그녀는 유태인 병원에서 2년간 일하였다. 그녀의 어머니는 라트비아의 리가로 이송되었고 역시 간호사였던 그녀의 자매는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는데, 둘 다 전쟁 중에 살아남지 못하였다. 1943년, 게르다는 테레지엔슈타트 게토로 보내져서 간호사로서 일을 계속 했다. 1945년 2월, 그녀는 스위스로 가는 도중 대오를 이탈하여 1946년 4월, 미국에서 아버지와 상봉하였다.
아이템 보기랍비 아브라함 클라우스너(Abraham Klausner)는 미군 성직자였다. 1945년 5월, 그는 다하우 수용소에 도착하였다. 그는 제 116 철수 병원 부대에 소속하여 5년 동안 난민 수용소의 유태인 생존자들을 도왔다.
아이템 보기1939년, 독일은 크라쿠프를 점령하였다. 뮤레이(Murray)의 가족은 그 도시의 다른 유태인들처럼 크라쿠프 게토로 강제 이주되었다, 1942년, 뮤레이와 남동생은 플라쵸바 수용소 인근으로 이송되어 강제 노동을 하였다. 1944년 5월, 그의 남동생은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고 뮤레이는 독일의 그로스-로젠 수용소로 보내졌다. 나중에 뮤레이는 수데텐랜드의 브루엔리츠로 이송되어 독일의 산업가인 오스카 쉰들러(Oskar Schindler)를 위해서 강제 노동을 했다. 쉰들러는 자신의 일을 돕는 유태인들이 전쟁 기간 동안 살아남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뮤레이는 1945년 5월에 해방되었다.
아이템 보기토마스(Thomas)의 가족은 1938년, 질리나로 이주하였다. 슬로바크 흘링카 경비대의 유태인학대가 심해지자 가족들은 그곳을 떠나기로 결심하였다. 토마스와 그의 가족들은 결국 폴란드로 들어왔다. 하지만 1939년, 독일의 침공으로 인해 영국으로 가고자 했던 그들의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그의 가족이 정착한 곳은 키엘체로서 1941년 4월에 게토가 설립되었다. 1942년 8월, 키엘체 게토가 해체될 때 토마스와 그의 가족은 트레블링카로 이송되지 않았다. 대신 가족들은 키엘츠의 강제 노동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그와 그의 부모님들은 1944년 8월에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다. 1945년 1월 소련군이 진격해 오자, 토마스와 다른 수감자들은 아우슈비츠를 떠나 죽음의 행군에 동원되었다. 그는 독일의 작센하우젠 수용소로 옮겨졌다. 1945년 4월 소련군이 작센하우젠 수용소를 해방시키자, 토마스는 고아원으로 보내졌다. 친척들이 그를 찾았고 그는 괴팅헨에서 어머니를 다시 만났다. 1951년, 그는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아이템 보기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여 오스트로비에츠를 점령하였을 때 루스(Ruth)는 네 살이었다. 그녀의 가족은 게토로 이주하도록 명령받았다. 그녀의 아버지가 게토 외부에서 계속해서 일할 수 있도록 허락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독일군은 그녀의 아버지가 경영하던 사진관을 몰수하였다. 게토가 철거되기 전, 루스의 부모님은 그녀의 자매를 은신처로 보냈고 게토 외부에 있는 노동 수용소에서 일자리를 얻게 되었다. 루스 역시 은신처로 갔다. 은신처는 수용소 근처 숲 아니면 수용소 안에 있었다. 수용소가 철거되자 루스의 부모님은 서로 헤어졌다. 루스는 다른 몇 군데의 집단 수용소를 전전하다가 결국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루스는 크라쿠프의 고아원에 머물다가 마침내 어머니를 만났다.
아이템 보기레아(Leah)는 폴란드 바르샤바 외곽의 프라가에서 자랐다. 그녀는 하-쇼머 하-차이르 시온(Ha-Shomer ha-Tsa'ir Zionist)청년단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1939년 9월, 독일은 폴란드를 침공하였다. 유태인들은 바르샤바의 게토에서 생활하도록 강요받았다. 1940년, 독일은 게토를 폐쇄하였다. 게토에서 레아는 하-쇼머 하-차이르 회원들과 함께 살았다. 1941년 9월, 그녀와 다른 청년단 회원들은 게토를 탈출하여 폴란드 체스토쵸바 인근 자르키의 하-쇼머 하-차이르 농장으로 갔다. 1942년 5월, 레아는 지하 조직의 밀사가 되어 위조 폴란드 서류를 가지고 크라쿠프 게토와 플라소우 수용소 인근 사이에서 활동하였다. 상황이 악화되자 그녀는 타르노바로 탈출하였으나 이내 다시 크라쿠프로 돌아가기로 결정하였다. 또한 레아는 체스토쵸바와 바르샤바에서 비 유태인 행세를 하면서 유태인 국가 위원회(Jewish National Committee)와 유태인 투쟁 단체(Jewish Fighting Organization, ZOB)의 일원으로 활약하였다. 1941년, 바르샤바에서 일어난 폴란드인의 폭동에서 그녀는 아르미아 루도바(인민 군대) 유태인 부대에 가담하여 싸웠다. 레아는 소련군에 의하여 해방되었다. 전쟁이 끝나고, 그녀는 폴란드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을 돕는 활동을 하다가 이스라엘로 이주한 후, 이후 미국에 정착하였다.
아이템 보기1942년, 샘(Sam)은 그의 고향에 있는 게토로 이주하도록 명령을 받고 군수품 공장에서 노동을 하도록 배정받았다. 1944년, 그는 아우슈비츠로 수송되어 기차 공장에서 강제 노동을 했다. 그는 나치에 의해 진행된 아우슈비츠 퇴거 이후 진행된 8일간의 죽음의 행군에서 살아남았다. 그는 1945년 1월, 소련군에 의해서 해방되어 독일 난민 수용소에서 생활하였는데 거기서 그는 국제 연합 구제 부흥 사업국에서 일하였다. 1947년, 그는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아이템 보기We would like to thank Crown Family Philanthropies and the Abe and Ida Cooper Foundation for supporting the ongoing work to create content and resources for the Holocaust Encyclopedia. View the list of all don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