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 샹봉 쉬르 리니옹에서 안드레 트로메이(André Trocmé) 목사의 가족과 함께 지내던 엘리자베스 카우프만이 기록한 일기의 표지. 프랑스 르 샹봉 리니옹, 1940-1941년.
아이템 보기오토 울프(1927-1945)는 제2차 세계대전이 진행되는 동안 시골 모라비아에 숨어 지내던 가족의 경험을 연대기로 기록한 체코 유태인 청소년이었다. 그의 일기는 사후에 출간되었다. 이 사진은 오토 울프 일기의 제4권을 보여준다.이 부분은 1945년 4월 17일 펠리치타 가르다(오토 울프의 여동생)가 처음으로 일기를 기록한 부분이다. 펠리치타는 오토 울프의 실종 이후에도 계속해서 오토의 일기를 이어 나갔다.
아이템 보기스위스 난민 소용소에서 한 어린이가 기록한 일기장의 그림 페이지. 이 일기는 어떻게 국경을 건너서 스위스로 왔는지 설명하고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는 숲에서 나와서 들판으로 갔다. 국경이 가까왔기 때문에 가능한 조용히 해야 했다. 아차! 까먹을 뻔 했네! 우리가 숲에서 나오기 전에, 어른들을 우리를 15분 정도 숲에 그대로 있게 하고는 주변을 살펴보고 철조망을 끊기 위해 나갔다. 다행히도, 얼마되지 않아 다시 걷기 시작했다. 철조망의 구멍 앞에서 작은 초소를 보았는데, 다행히도 보초가 없었다. 우리는 한 사람씩 조용히 철조망 구멍을 통과했다. 감동의 순간! 마침내 자유의 나라 스위스에 온 것이다." 스위스, 1943-1944년.
아이템 보기스위스 난민 소용소에서 한 어린이가 기록한 일기장의 그림 페이지. 이 일기는 어떻게 국경을 건너서 스위스로 왔는지 설명하고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는 숲에서 나와서 들판으로 갔다. 국경이 가까웠기 때문에 가능한 조용히 해야 했다. 이런! 까먹을 뻔 했네! 우리가 숲에서 나오기 전에, 어른들을 우리를 15분 정도 숲에 그대로 있게 하고는 주변을 살펴보고 철조망을 끊기 위해 나갔다. 다행히도, 얼마되지 않아 다시 걷기 시작했다. 철조망의 구멍 앞에서 작은 초소를 보았는데, 다행히도 보초가 없었다. 우리는 한 사람씩 조용히 철조망 구멍을 통과했다. 감동의 순간! 마침내 자유의 나라 스위스에 온 것이다." 스위스, 1943-1944년.
아이템 보기폴란드 브로디에 숨어 지내던 유제니아 호치베르그(Eugenia Hochberg,)의 일기장 페이지. 여기에는 가족 및 친구의 사망 및 이송과 같이 전행 중에 발생한 중요 사건의 타임라인이 포함되어 있다. 폴란드 브로디, 1943년 7월 - 1944년 3월.
아이템 보기르 샹봉 쉬르 리니옹의 개신교 마을에 숨어 지내던 유태인 소년 피터 파이글의 사진. 프랑스 르 샹봉, 1943년 8월 9일.
아이템 보기르 샹봉 쉬르 리니옹의 개신교 마을에 숨어 지내던 유태인 소년 피터 파이글이 기록한 일기. 사진은 집단 수용소에서 학살된 부모이다. 일기 내용은 프랑스어와 독일어로 기록되었다. 프랑스 르 샹봉 리니옹, 1942-1943년.
아이템 보기안네 프랑크의 일기에서 발췌, 1942년 10월 10일: “이것은 내 사진이다. 나는 영원히 이런 모습이었으면 좋겠다. 그러면 나는 헐리우드에 갈 수도 있겠지. 하지만 지금은 내가 좀 다르게 보인다는 게 겁이 난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아이템 보기르 샹봉 쉬르 리니옹에서 안드레 트로메이(André Trocmé) 목사의 가족과 함께 지내던 엘리자베스 카우프만이 기록한 일기의 페이지. 프랑스 르 샹봉 리니옹, 1940-1941년.
아이템 보기키티 와이체허즈(Kitty Weichherz)의 전쟁 전 사진. 이 사진은 그녀의 아버지 벨라 와이체허즈(Bela Weichherz)가 기록한 키티의 생애에 대한 일기에서 가져온 것이다(벨라는 1929년 12월 키티가 태어난 후부터 그녀가 이송될 때까지 딸의 삶을 일기로 남겼다). 키티와 그녀의 모든 친족은 학살당했다. 벨라가 기록한 2권의 일기는 종전 후에 발견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 1934년부터 1937년 사이.
아이템 보기We would like to thank Crown Family Philanthropies and the Abe and Ida Cooper Foundation for supporting the ongoing work to create content and resources for the Holocaust Encyclopedia. View the list of all don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