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기사

모두 지우기

| 결과 표시 1-50 / 191. 검색 내용 - "" |

  • 게슈타포(Gestapo): 개요

    기사

    게슈타포는 나치 독일의 가장 악명 높은 정치경찰이었다. 나치 시대를 거치면서 게슈타포 기관은 확장되고 변경되었다. 게슈타포가 표적 삼은 집단은 정권의 정책과 우선순위를 따라 움직였다. 게슈타포의 한 가지 일관성이 있다면 나치즘의 가장 급진적 정책을 잔인하게 순행하는 신뢰할 수 있는 조직이었다.

    게슈타포(Gestapo): 개요
  • 폴란드 침공 - 1939년 가을

    기사

    1939년 9월 1일 독일군이 폴란드를 침공하자 제2차 세계대전이 촉발되었다. 독일의 침략에 대응하여 영국과 프랑스는 나치 독일에 선전포고한다.

    폴란드 침공 - 1939년 가을
  • 독소 불가침조약

    기사

    1939년 8월 독소 불가침조약이 체결되었다. 이로 인해 같은 해 9월 나치 독일과 소련이 폴란드를 침공하고 점령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단지 두 격렬한 이데올로기 적들 사이의 편의적 조약이었던 것이다. 나치 독일과 소련은 10년 동안 서로 공격하지 않기로 약속하면서 동유럽 세력권을 분할했다. 그러나 2년도 채 되지 않아 히틀러는 소련을 침공했다.

    독소 불가침조약
  • 제2차 세계대전 연대표

    기사

    제2차 세계대전 직전과 과정의 연대표. 유럽 유대인 대량 학살은 2차 세계대전 맥락에 발생했다. 독일군은 유럽, 소련, 북아프리카를 점령하면서 나치 정권의 반유대주의 인종 정책이 더욱 급진적으로 악화되고 탄압부터 대량 학살로 변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연대표
  • 엘리 위젤(Elie Wiesel)

    기사

    엘리 위젤(Elie Wiesel)은 아우슈비츠 생존자, 《나이트 (Night)》작가 겸 인권 운동가다. 위젤은 세계에 홀로코스트를 알리기 위해 인생을 바쳤다. 1986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이다.

    태그: 아우슈비츠
    엘리 위젤(Elie Wiesel)
  • 나치 영토 확장: 안슐루스(Anschluss)

    기사

    1930년대부터 나치 독일은 팽창 주위 정책을 펼쳤다. 이 정책으로 끝내 1939년 9월 유럽에서 제2차 세계대전으로 절정에 달했다. 전쟁 전과 전시에 영토를 확장하면서 수백만 명 유대인이 독일 지배를 받게 된다. 1938년 3월 11일~13일, 나치 독일은 이웃국 오스트리아를 병합했다. 이 사건을 안슐루스(Anshuluss; 병합)라고 알려져 있다.

    나치 영토 확장: 안슐루스(Anschluss)
  • 홀로코스트(요약문)

    기사

    홀로코스트(Holocaust, 1933-1945)는 나치 독일 정권이 동맹국들과 협력자들과 함께 600만 유럽계 유대인들을 제도적으로 탄압하고 조직적으로 학살한 사건이다.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1933년에 독일에 집권하면서 시작했고 1945년에 독일이 제2차 세계대전에 연합군한테 패전하면서 끝났다.  나치당은 반유대주의적 정치 운동이었다. 1933년에 집권하자 나치들은 국가 권위로 유대인들을…

    홀로코스트(요약문)
  • 홀로코스트때 유대인 대량 총살

    기사

    1941년 여름에 독일이 소련을 침공한 후 소련 점령지에서 유대인 남성, 여성과 어린이들이 독일군에게 총살당하기 시작했다. 이 총살들은 “유대인 문제에 대한 최종 해결책”(Endlösung der Judenfrage)이라는 유럽의 유대인들을 집단 학살하려 했던 조치의 실행이었다.

    홀로코스트때 유대인 대량 총살
  • 독일의 소련 침공 (1941년 6월)

    기사

    1941년 6월 22일 나치 독일은 폴란드 침공 때 동맹국이었던 소련을 기습 공격했다. 연말에 독일군은 모스크바 외곽까지 수백 마일을 진격하게 된다. 침공 직후 기동 학살 부대는 소련 내 유대인을 대량 학살하기 시작했다. 독일군과 민간 당국 점령 정책으로 인해 수백만 명의 소련 전쟁 포로와 민간인이 학살되었다.

    독일의 소련 침공 (1941년 6월)
  • 바비야르(Babi Yar) 대량 총살

    기사

    1941년 9월 말에 친위대(SS), 독일 경찰 부대와 예비 부대들은 제2차 세계대전에 악명 높은 학살 중 하나로 뽑이는 사건을 자행했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외부에 있는 바비야르(Babi Yar) 협곡에서 발생했다.

    태그: 대량 총살
    바비야르(Babi Yar) 대량 총살
  • 추축국과 홀로코스트

    기사

    나치 독일은 유럽의 유대인 탄압과 대량 학살의 주도자이자 주요 가해자였다. 그러나 독일과 동맹을 맺은 유럽 추축국(이탈리아,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슬로바키아, 크로아티아)들도 어느 정도 홀로코스트에 가담했다. 일본은 참여하지 않았으며 일부 유럽계 유대인들은 일본의 점령지로 피난처를 찾기까지 했다.

    추축국과 홀로코스트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추축국

    기사

    추축국은 독일, 이탈리아와 일본이 중심이던 동맹이었다. 이 세 국가는 서로 유럽에선 독일과 이탈리아, 동아시아에는 일본의 지배권을 인정했다. 이외의 5개 유럽 국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추축국과 동맹을 맺었다. 모든 독일의 유럽 동맹국들은 홀로코스트 당시 유대인 박해와 학살에 어느 정도 가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추축국
  • 범죄를 어떻게 정의했는가?

    기사

    제2차 세계 대전 후, 연합국은 국제군사재판소(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IMT)를 창설해 각각의 독일 지도자들을 국제법 위반으로 처벌하기 위한 전례 없는 조처를 취했다.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은 현재까지 계속 전개되고 있는 국제 형법 및 법적 책임 신체제의 기반이다.

    범죄를 어떻게 정의했는가?
  • 나치 인종주의

    기사

    나치 인종주의 나치 인종 견해와 사상은 독일 내 일상생활과 정치에 영향을 끼쳤다. 나치들은 특히 유대인을 열등한 타 인종이란 그릇된 견해를 품었다. 이러한 견해를 인종적 반유대주의라고 부른다. 나치 인종 견해와 사상은 종종 “나치 인종주의” 및 “나치 인종 이데올로기”라고 결합한다. 다른 인종주의처럼 나치 인종주의는 편견과 고정관념에 기초했다. 나치들은 유럽과…

    나치 인종주의
  • 현재 난민

    기사

    오늘날 난민 위기는 대량학살과 인권침해의 분쟁의 결과물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적 난민보호 단체들이 난민 문제를 국제 사회의 책임으로 규정했지만, 전 세계 국가들이 이러한 국제적 의무를 이루기 위해 갈 길은 아직 멀다.

    현재 난민
  • 1933~41년 미국 이민

    기사

    1930년대와 1940년대의 탄압으로부터 안전한 피난처를 찾았던 많은 사람은 미국의 제한적인 이민 할당량과 복잡하고 까다로운 비자 조건 때문에 좌절을 겪게 된다. 당시 미국 여론은 이민자 확대에 부정적이었고, 결과적으로 이민 정책을 변경하라는 정치적 압력은 거의 없었다. 이러한 정책은 경제적 문제와 국가 안보를 우선시했다.

    태그: 미국 난민
    1933~41년 미국 이민
  • 아돌프 히틀러

    기사

    아돌프 히틀러는 나치 (Nazis) 라고 알려져 있는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당 (National Socialist German Workers Party)에서 1921년부터 최고의 지도자로 있었다. 1923년 그는 독일 정부를 전복시키려고 시도한 혐의로 체포되어 수감되었다. 재판 과정에서 유명해지면서 많은 추종자가 생겼다. 그는 이후 감옥에 있는 동안 자신의 정치적 이념인 Mein Kampf (나의 투쟁) 를 저술했다. 히틀러의 이데올로기적…

    아돌프 히틀러
  • 아리아인

    기사

    아리아인이라고 하는 단어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처음에는 대부분의 유럽어와 다수의 아시아어를 비롯한 다양한 관련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그룹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 단어는 새롭고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일부 학자 및 사람들이 아리아인을 다른 종족보다 우월하다고 주장하면서 신화적인 "인종"으로…

    아리아인
  • 히틀러 청소년단

    기사

    나치당은 독일 사회의 모든 측면에 영향력을 확대하려고 노력했다. 히틀러 청소년단과 독일 소녀 연맹은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나치 이념과 정책을 소개하기 위한 나치당 청소년 단체로 시작되었다. 이 청소년 단체는 독일의 젊은이들을 전쟁에 대비시킬 목적으로도 사용되었다.

    태그: 선전 제3제국
    히틀러 청소년단
  • 홀로코스트 부정: 중요 날짜:

    기사

    이 연대표는 홀로코스트 부정에 대한 주요 변천사를 사건별로 열거하여 설명한다.

  • Mein Kampf(나의 투쟁)

    기사

    아돌프 히틀러의《나의 투쟁》(Mein Kampf)은 지금까지 출판된 나치 서적 중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고 인기 있는 책이다.

    Mein Kampf(나의 투쟁)
  • 전후 재판

    기사

    제 2 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 재판소, 국내 재판소 및 군사 재판소는 수천 명의 전쟁 범죄자들을 고발하여 재판을 실시하였다. 나치 시대 범죄의 가해자들에 대한 정의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은 21세기까지 계속되고 있다. 불행하게도 많은 탄압자들 중에는 재판에 회부되지도 처벌을 받지도 않은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후 재판은 중요한 법적 선례를 세웠다.…

    전후 재판
  • 다비드 시라코비악(Dawid Sierakowiak)

    기사

    우치(Łódź)의 유대인 어린이는 독일의 폴란드 침공 이후 가혹한 현실을 겪었다. 다비드 시라코비악(Dawid Sierakowiak)을 비롯한 몇몇 어린이들은 일기에 개인 생활을 기록했다. 이들의 증언은 매욱 어려운 상황에 불구하고 공동체와 젊은이들이 살기 위해 어떠한 투쟁을 했는지 알려준다.

    다비드 시라코비악(Dawid Sierakowiak)
  • 질서경찰

    기사

    나치는 집권 후 10년 안에 질서경찰(Ordnungspolizei; Orpo)을 살인적 군사조직으로 급진화한다. 질서경찰은 홀로코스트 당시 많은 만행을 자행한다. 게토 경비, 강제 이송, 숨은 유대인 추적, 유대인과 비유대인 학살에 참여한다. 질서경찰은 유럽계 유대인 대량 학살 진도와 잔혹함에 큰 영향을 끼쳤다.

    질서경찰
  • 히틀러가 권력을 장악하다

    기사

    1933년 1월 30일 독일 대통령 파울 폰 힌덴부르크(Paul von Hindenburg)는 나치당의 총재였던 아돌프 히틀러를 독일 총리로 임명했다. 나치당의 정식 명칭은 국가사회주의독일노동자당(NSDAP)이며 당원은 종종 나치라고 부른다. 나치의 이데올로기는 근본적으로 우익, 반유대주의, 반공주의 및 반민주주의적이었다. 히틀러가 집권하게 된 과정에 여러 가지 오해가 있으니 다음 사실을 알고…

    히틀러가 권력을 장악하다
  • "최종 해결책"(Final Solution)

    기사

    나치의 "유대인 문제에 대한 최종 해결책”(Endlösung der Judenfrage)은 유럽 유대인을 대상으로 한 계획적이고 조직적인 대량 학살이었다.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진행되었고 종종 "최종 해결책"(Endlösung)이라고 불린다. "최종 해결책"은 나치 유대인 탄압의 비극적인 절정이었다. 홀로코스트(1933~1945)의 핵심 사헌인 것이다. 나치 독일은 "최종 해결책"을 시행하기 위해 유럽 유대인을 기아,…

    "최종 해결책"(Final Solution)
  • 뉘렌베르크 인종법(Nürnberger Rassengesetze, Nuremberg Racial Law)

    기사

    뉘른베르크 인종법은 무엇인가?  1935년 9월 15일 나치 정권은 두 새로운 법률을 통과했다: 국가시민법(Reichsbürgergesetz, Reich Citizenship Law) 독일인 혈통 명예 보호법(Gesetz zum Schutze des deutschen Blutes und der deutschen Ehre, Law for the Protection of German Blood and German Honor) 이 법률들은 비공식적으로 뉘른베르크법(Nürnberger Gesetze) 또는 뉘른베르크 인종법으로 알려지게 된다. 이유는 독일…

    뉘렌베르크 인종법(Nürnberger Rassengesetze, Nuremberg Racial Law)
  • "수정의 밤"(Kristallnacht, Night of the Broken Glass)

    기사

    1938년 11월 9시 밤부터 10일 사이 나치 정권은 독일 전국에 반유대적 공격을 조작했다. 이 사건은 깨어진 상점 유리창이 거리에 널려 있는 광경에 "수정의 밤"(Kristallnacht)으로 알려지게 된다. 계획하지 않은 반유대적 분노로 일어난 사건으로 묘사했지만, 사실은 나치 지도자들이 아돌프 히틀러의 허가로 적극적으로 조작한 것이었다. 11월 9일 밤 나치당의 조직원(SS, SA, 히틀러…

    "수정의 밤"(Kristallnacht, Night of the Broken Glass)
  • 나치 선전과 검열

    기사

    나치는 독일 국민을 독재 정권을 지지하고 나치 사상을 따르기를 원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검열과 선전을 통해 신문, 잡지, 책, 예술, 연극, 음악, 영화, 라디오 같은 다양한 매체를 통제하게 된다. 나치는 어떻게 검열했는가? 1933년 나치당이 집권했을 때 언론과 출판의 자유는 독일 헌법에 보장되었다.  하지만 나치는 새로운 법령과 법률로 이러한 시민권을 폐지하고 독일…

    나치 선전과 검열
  • 홀로코스트와 나치 박해로 인한 피해자 수에 대한 기록

    기사

    홀로코스트는 기록이 가장 잘 남아 있는 대량 학살 사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치 정책으로 인한 정확한 사망자 수를 계산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사망자 수가 기록된 단일 전쟁 문서는 없습니다. 

    홀로코스트와 나치 박해로 인한 피해자 수에 대한 기록
  • 전쟁 전 독일의 유대인들

    기사

    전쟁 발발 전 독일의 유태인들 유대인들은 독일에서 중세시대부터 거주하고 있었다. 이들은 이곳에 수백 년 동안 유럽 각국의 사회들처럼 광범위한 박해를 받았다. 독일의 유대인들은 19세기에 기독교인들과 같은 법적 권한을 받게 되었다. 따라서 1933년 나치 집권 당시 독일의 유대인들은 이미 독일 사회에 동화되어 있었다. 그래도 유대인들은 나머지 독일 사회에 구별할 수 있는…

    전쟁 전 독일의 유대인들
  • 유대인 상업 불매운동

    기사

    유대인 불매운동(Judenboykott)은 나치 정권의 첫 반유대정책이었다. 토요일 4월 1일 1933년에 벌어졌다. 이날에 독일인들은 나치당이 유대인들과 관련된 기업이나 상업의 제품들을 구매하면 안되었다. 유대인 의사와 변호사의 사무실들도 방문 하면 안되었다. 나치들은 왜 불매운동을 벌었는가? 나치 대변인은 불매운동의 목적은 두 집단을 대상으로 한 복수라 주장하였다: 독일계…

    유대인 상업 불매운동
  • 지도자 만들기

    기사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조력자로서, 구원자로서, 고통스러운 상황으로부터 그들을 구해줄 구조자로서 감동스러운 믿음을 가지고 그(히틀러, Hitler)를 존경하는가.”-루이스 솔미츠(Louis Solmitz), 함부르크 학교 교사, 1932년. 카리스마 있는 지도자에 대한 강력한 대중의 열망은 선전 전략의 이용에 비옥한 토양을 제공한다. 나치당 당수인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의 신중하게…

    지도자 만들기
  • 집단 학살 센터:

    기사

    나치는 효과적인 대량 학살을 위하여 집단 학살 수용소를 설립하였다. 억류 및 노동 수용소 역할을 주로 하는 집단 수용소와는 달리 집단 학살 센터("집단 학살 수용소” 또는 “죽음의 수용소”라고도 함)는 그야말로 “죽음의 공장”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었다. 독일 SS 부대와 경찰은 집단 학살 센터에 있는 2,700,000여명에 달하는 유태인들을 총살하거나 독가스로 질식시켜…

  • 집단 학살 센터: 개요

    기사

    나치는 효과적인 대량 학살을 위하여 집단 학살 수용소를 설립하였다. 억류 및 노동 수용소 역할을 주로 하는 집단 수용소와는 달리 집단 학살 센터("집단 학살 수용소” 또는 “죽음의 수용소”라고도 함)는 그야말로 “죽음의 공장”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었다. 독일 SS 부대와 경찰은 2,700,000여명에 달하는 유태인들을 총살하거나 독가스로 질식시켜 학살하였다. 가장 최초로 설립된…

    집단 학살 센터: 개요
  • 절멸 수용소로 추방

    기사

    1941년 나치 지도부는 유럽의 유대인을 조직적인 대량 학살할 계획인 "최종 해결책"을 실행하기로 했다. 주로 구금 및 노동 수용소 역할을 했던 강제 수용소와는 달리, 절멸 수용소(때로 "학살 수용소" 또는 "죽음의 수용소"라고도 부름)는 "최종 해결책"의 일환으로 주로 유대인 대량 학살에 집중한 장소였다.

    절멸 수용소로 추방
  • 청년들에 대한 사상 교육

    기사

    미래의 형상화: 청년들에 대한 사상 교육 “이 소년 소녀들은 10세의 나이에 우리 조직에 입단한다. 그리고 거의 처음으로 새로운 사상을 맛보게 된다. 소년단원으로 4년을 보내면 그들은 히틀러 청년단에 입단하여 또 4년을 보내게 된다. . . 그러고도 그들이 여전히 국가 사회주의자가 되지 못하면 그들은 의무 노동을 수행하면서 6, 7개월간 수행 과정을 거쳐야 한다. . . 그래도 여전히…

    청년들에 대한 사상 교육
  • 트레블링카

    기사

    1941년 11월, 독일 당국은 폴란드 점령지 내 바르샤바에서 북동쪽으로 약 80km 떨어진 곳에 차후 트레블링카 I로 알려지게 된 강제 노동 수용소를 건설하였다. 1942년 7월, 독일 당국은 트레블링카 II로 알려진 학살 수용소를 완공하였다. 1942년 7월부터 1943년 11월까지, 독일군과 협력자들은 트레블링카에서 870,000명에서 925,000명에 달하는 유태인을 학살하였다. 독일군은 바르샤바 게토, 란돔,…

  • 포그롬(Pogroms, 대 박해)

    기사

    포그롬(Pogroms, 대 박해) 이란 “아수라장에 분노를 퍼붓다, 폭력적으로 파괴하다”라는 러시아 말이다. 역사적으로 이 단어는 러시아 제국 내의 유태인에 대하여 해당 지역의 비 유태인들이 폭력을 행사하였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포그롬이라는 이름의 이러한 사건은 1821년의 오데사 지역의 반 유태주의 폭동에서 처음 나타났다. 기술적인 용어로 “포그롬"은 1881년부터 1884년 짜르…

    포그롬(Pogroms, 대 박해)
  • 포그롬(Pogroms, 대 박해)

    기사

    포그롬(Pogrom, 대 박해)이란 "아수라장에 분노를 퍼붓다, 폭력적으로 파괴하다"는 러시아 말이다. 역사적으로, 이 단어는 러시아 제국 내의 유태인에 대하여 해당 지역의 비 유태인들이 폭력을 행사하였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나치 통치하의 독일에서 유태인에 대한 공개적 폭력은 종종 묵인되었다. 나치 지도자들은 폭력 행위가 독일 국민들이 가혹한 "반 유태주의" 정책을 원하도록…

  • 독일 점령지 폴란드의 게토

    기사

    동유럽에는 수백만명의 유태인들이 거주했다. 1939년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한 후, 2백만명 이상의 폴란드계 유태인들이 독일의 손아귀에 들어갔다. 1941년 독일이 소련을 침공한 후, 수백만명의 유태인들이 추가로 나치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독일군은 유태인들을 마을이나 도시의 지정된 구역으로 몰아 넣음으로써 방대한 유태인 인구를 통제할 목표를 세웠는데, 이러한 구역을 나치는…

    독일 점령지 폴란드의 게토
  • 학살 수용소 봉기

    기사

    바르샤바 게토의 반란은 다른 게토와 학살 수용소의 봉기에 영향을 미쳤다. 비록 많은 저항군은 막강하게 우세한 독일군에게 패배할 운명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이들은 싸우면서 죽기로 결심했다. 1943년 5월 트레블링카로 이송된 마지막 유태인들이 가스실에서 학살된 후, 약 1,000명의 유태인 수감자들이 수용소에 남아 있었다. 이들은 조만간에 살해될 것이라는 것을 알고는…

    학살 수용소 봉기
  • 학살 수용소에서

    기사

    이송 열차가 학살 수용소에 도착하면, 경비대는 강제 추방자들에게 밖으로 나와서 일렬로 서라고 명령했다. 그 다음에 이들 희생자들은 선별 과정을 거쳤다. 남성은 여성과 어린이들로부터 분리되었다. 일반적으로 나치 SS 의사가 각 사람을 한번 훑어보고는 강제 노역을 하기에 충분히 건강하고 튼튼한지 결정했다. 이 SS 장교는 손가락으로 왼쪽이나 오른쪽을 지시했는데, 수감자들은…

    학살 수용소에서
  • 학살 협력

    기사

    유태인들을 학살하는데 협력한자들은 홀로코스트 기간중 가장 잔악한 행위들을 저질렀다. 반 유태주의, 국가주의, 타 인종에 대한 혐오감, 반-공산주의, 기회주의로 인하여, 독일이 점령한 국가들의 다수의 시민들은 나치 정권과 손을 잡고 유럽계통의 유태인 학살에 동조 하였다.독일의 주축 가담국은 반 유태인 법률을 제정하여 나치 정권에 협력하였다. 헝가리, 슬로바키아,…

  • 학살자들

    기사

    나치 정권의 엘리트 경비대인 SS 대원들은 유럽 전역의 유태인들을 말살하고자 하는 나치 독일의 계획인 "최종 해결"의 실행에서 중심 역할을 하였다. SS 사령관 하인리히 히뮬러(Heinrich Himmler)와 그 부하들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Reinhard Heydrich), 커트 다루에게(Kurt Daluege)를 비롯한 기타 인물들은 SS와 경찰의 지위를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 직속으로 확립하고 나치 정권의 이념적 목적을…

  • 학살자들

    기사

    나치 정권의 엘리트 경비대인 SS 대원들은 유럽 전역의 유태인들을 말살하고자 하는 나치 독일의 계획인 “최종 해결”의 실행에서 중심 역할을 하였다. SS 사령관 하인리히 히뮬러(Heinrich Himmler)와 그 부하들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Reinhard Heydrich), 커트 다루에게(Kurt Daluege)를 비롯한 기타 인물들은 SS와 경찰의 지위를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 직속으로 확립하고 나치 정권의 이념적…

    학살자들
  • 해방

    기사

    소련군은 전쟁이 끝날 즈음에 첫번째로 집단 수용소 수용자들을 해방시켰다. 1944년 7월 23일, 소련군은 폴란드의 마이다네크 집단 수용소를 점령하고, 나중에 다른 학살 수용소도 장악했다. 1945년 1월 27일, 이들은 아우슈비트로 입성해서 수백명의 병자들과 탈진한 수감자들을 구출했다. 독일군은 수용소에서 급하게 퇴각하면서 이러한 수감자들을 남겨 놓을 수 밖에 없었다. 또한,…

    해방
  • 헤움노

    기사

    홀로코스트 시기에 SS는 폴란드 로츠에서 북서쪽으로 48km(30마일) 떨어진 헤움노 학살 수용소에서 적어도 152,000명을 살해하였다. 유태인 대량 학살에 유독 가스가 사용된 최초의 수용 시설이기도 했다. 이 학살 수용소는 헤움노 마을 내 저택과 근처 대규모 산림 개간지로 이루어져 있었다. 수용소 간부와 감시대는 마을 내 다른 건물에 머물렀다. 큰저택 부지와 산림 수용소는 높은 목재…

  • 홀로코스트 기간 중의 여성들

    기사

    나치 통치는 남녀를 불문하고 모든 유태인들을 탄압하고 궁극적으로는 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러나 희생자들의 성별을 가리자면 나치 통치는 유태인과 비 유태인을 불문하고 여성을 더욱 심하게 탄압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나치의 이데올로기는 로마니(집시) 여성, 폴란드 여성 그리고 일상 생활의 영위가 힘든 여성들도 목표로 삼았다. 여성만으로 구성된 수용소가…

    홀로코스트 기간 중의 여성들
  • 홀로코스트 기간 중의 여성들

    기사

    나치 정권은 유태인과 비 유태인을 불문하고 여성을 더욱 심하게 탄압하는 경우가 많았다. 여성만으로 구성된 수용소가 존재하기도 하였고 일반 수용소 내에서도 여성 수감자들을 위한 특정 지역이 정해져 있기도 했다. 1939년 5월, SS는 여성들을 수감하기 위한 나치 최대 규모의 수용소인 라벤스브뤼크 수용소를 설립하였다. 1945년 소련 군이 라벤스브뤼크 수용소를 해방시켰을 때까지…

Thank you for supporting our work

We would like to thank Crown Family Philanthropies, Abe and Ida Cooper Foundation, the Claims Conference, EVZ, and BMF for supporting the ongoing work to create content and resources for the Holocaust Encyclopedia. View the list of donor acknowled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