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토에서의 생활
게토에서의 생활은 일반적으로 참기 어려운 것이었다. 과밀 상태는 흔했다. 한 아파트에 여러 가정이 함께 생활했다. 하수도관이 파손되어 사람들의 분뇨도 쓰레기와 함께 거리에 버려졌다. 비좁고 비위생적인 주거 환경에서 전염병이 급속하게 퍼져 나갔다. 사람들은 항상 굶주렸다. 독일군은 사람들이 소량의 빵, 감자 및 지방질이 있는 음식만 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도적으로 사람들이 굶주림에 시달리도록 했다. 게토로 밀수된 음식을 거래할 정도의 돈이나 귀중품을 가진 사람들도 있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살기 위해 구걸하거나 도둑질을 해야만 했다 . 긴 겨울동안 난방 연료가 귀했고 적절한 겨울 옷들도 부족했다. 사람들은 배고픔에 허약해지고 추위에 떨어 쉽게 병들었다. 수 십만명의 사람들이 병, 굶주림 또는 추위로 인해 게토에서 죽어갔다. 몇몇 사람들은 절망적인 삶을 벗어나고자 자살하기도 하였다.
매일 고아가 발생했고, 많은 아이들이 자기보다 어린 아이들을 돌봐야 했다. 고아들은 거리에서 지내면서 가진 것이 거의 없는 사람들에게 빵 부스러기라도 구걸하는 경우가 많았다. 겨울에는 많은 고아들이 동사했다.
어린이들도 살아남기 위해선 수완과 솜씨가 좋아야 했다. 바르샤바 게토의 어린이들은 게토 벽의 작은 구멍을 기어 다니면서 가족과 친구들에게 음식을 몰래 가져다 주는 역할을 하였다. 이렇게 하다가 발각되면 심한 고초를 겪는데도 어린이들은 큰 위험을 무릅쓰고 일을 감행했다.
많은 청소년들은 게토에서 어른들이 세운 학교에 출석함으로써 교육을 계속 받으려고 노력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학교는 나치에 저항해서 비밀리에 진행된 것이기 때문에, 학생들은 붙잡히지 않도록 자신들의 옷 속에 책을 숨기기도 하였다.
주변에 고통과 죽음이 널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들은 계속 장난감을 갖고 놀았다. 어떤 어린이들은 게토에 들고 들어온 인형이나 자동차 장난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발견한 천조각이나 나무를 사용해서 장난감을 만들기도 하였다. 로츠 게토에서는 빈 담배 상자 덮개로 카드를 만들어서 놀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