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게(Inge)는 독일 남서부의 블랙 포레스트 부근의 작은 마을인 키펜하임의 종교적인 유태인 베르토홀트(Berthold)와 레지나 아우에르바흐어(Regina Auerbacher)의 외동딸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옷감 상인이었다. 그녀의 가족은 방이 17개인 큰 집에서 집안일을 도와주는 하인을 두고 살았다.
1933-39: 1938년 11월 10일, 불량배들이 우리 집에 돌을 던져 모든 유리창을 부수었습니다. 같은 날, 경찰들은 우리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체포하였습니다. 우리 어머니와 할머니 그리고 저는 모든 상황이 끝날 때까지 숨어 있었습니다. 우리가 나왔을 때 마을의 유태인 남자들은 모두 다하우 집단 수용소로 끌려간 후였습니다. 몇 주 후, 아버지와 할아버지는 집으로 돌아올 수 있었지만 그 해 5월, 우리 할아버지께서는 심장 마비로 돌아가셨습니다.
1940-45: 제가 7세 때, 저는 부모님과 함께 체코슬로바키아의 테레지엔슈타트 게토로 이송되었습니다. 거기 도착했을 때 우리는 입고 있는 것과 제 인형인 마를리네만 제외하고 모든 것을 빼앗겼습니다. 수용소의 상황은 너무나 열악했습니다. 감자는 다이아몬드 만큼이나 귀중했습니다. 저는 항상 너무나 배가 고프고 무섭고 몸이 아팠습니다. 제 8세 생일에 우리 부모는 제게 설탕을 아주 조금 뿌린 작은 감자 케잌을 선물로 주셨습니다. 9세 생일에는 넝마로 만든 인형 옷을, 그리고 10세 생일에는 엄마가 쓰신 시를 선물로 받았습니다.
1945년 5월 8일, 잉게와 그녀의 부모는 거의 삼 년을 지낸 후에 테레지엔슈타트 게토에서 해방되었다. 1946년 5월, 그녀는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아이템 보기샤를린(Charlene)의 부모는 모두 지역 사회 유태인 지도자였고 온 가족 모두가 지역 사회 활동에 적극적이었다. 샤를린의 아버지는 루보브 주립 대학의 철학과 교수였다. 1939년 9월 1일,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었다. 샤를린이 살던 도시는 1939년, 독일-소련의 비밀 조약으로 소련령이 된 동부 폴란드에 위치하고 있었다. 소련 점령하에 가족들은 살던 집에 머물러 있었고 샤를린의 아버지도 계속해서 대학에서 가르치는 일을 계속할 수 있었다. 1941년 6월,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였을 때, 독일군은 샤를린이 사는 지역을 점령하고 샤를린의 아버지를 체포하였다. 그리고 그녀는 아버지를 다시는 보지 못했다. 샤를린과 어머니 그리고 여동생은 독일이 호로호바에 설치한 게토로 이주하였다. 1942년, 샤를린과 어머니는 게토가 파괴된다는 소문을 듣고 게토를 탈출하였다. 여동생은 그들과는 떨어져서 은신처로 들어가기로 되어 있었으나 그 후 어떻게 되었는지 다시는 소식을 듣지 못하였다. 샤를린과 어머니는 강변의 수풀 아래 숨기도 하고 강물 속으로 숨기도 하면서 발각되는 것을 면했다. 그들은 며칠간 숨어 있었다. 어느날, 샤를린이 깨어 보니 어머니는 사라지고 없었다. 샤를린은 호로호바 인근의 숲에서 혼자 지내면서 살아가다가 소련군에게 해방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그녀는 미국으로 이민하였다.
아이템 보기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여 오스트로비에츠를 점령하였을 때 루스(Ruth)는 네 살이었다. 그녀의 가족은 게토로 이주하도록 명령받았다. 그녀의 아버지가 게토 외부에서 계속해서 일할 수 있도록 허락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독일군은 그녀의 아버지가 경영하던 사진관을 몰수하였다. 게토가 철거되기 전, 루스의 부모님은 그녀의 자매를 은신처로 보냈고 게토 외부에 있는 노동 수용소에서 일자리를 얻게 되었다. 루스 역시 은신처로 갔다. 은신처는 수용소 근처 숲 아니면 수용소 안에 있었다. 수용소가 철거되자 루스의 부모님은 서로 헤어졌다. 루스는 다른 몇 군데의 집단 수용소를 전전하다가 결국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루스는 크라쿠프의 고아원에 머물다가 마침내 어머니를 만났다.
아이템 보기아이린(Irene)과 그녀의 쌍둥이 르네(Rene)는 르네이트(Renate)와 르네 구트만(Rene Guttmann)사이에서 태어났다. 쌍둥이가 태어난 직후, 가족은 프라하로 이사하여 1939년, 독일이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지방을 점령할 때까지 그 곳에 거주하였다. 수 개월 후, 제복을 입은 독일인들이 그들의 아버지를 체포해 갔다. 수십 년 후, 아이린과 르네는 아버지가 1941년 12월, 아우슈비츠에서 살해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아이린과 르네 그리고 어머니는 테레지엔슈타트 게토로 이송되었다가 나중에 아우슈비츠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아우슈비츠에서 쌍둥이들은 분리되어 의학 실험의 대상이 되었다. 아이린과 르네는 아우슈비츠가 해방된 이후에도 한동안 서로 따로 떨어져 있었다. 아동 구조 단체는 1947년, 아이린을 미국으로 데려왔다. 1950년, 아이린은 미국에서 르네를 다시 만났다.
아이템 보기토마스(Thomas)의 가족은 1938년, 질리나로 이주하였다. 슬로바크 흘링카 경비대의 유태인학대가 심해지자 가족들은 그곳을 떠나기로 결심하였다. 토마스와 그의 가족들은 결국 폴란드로 들어왔다. 하지만 1939년, 독일의 침공으로 인해 영국으로 가고자 했던 그들의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그의 가족이 정착한 곳은 키엘체로서 1941년 4월에 게토가 설립되었다. 1942년 8월, 키엘체 게토가 해체될 때 토마스와 그의 가족은 트레블링카로 이송되지 않았다. 대신 가족들은 키엘체의 강제 노동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그와 그의 부모님들은 1944년 8월에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다. 1945년 1월 소련군이 진격해 오자, 토마스와 다른 수감자들은 아우슈비츠를 떠나 죽음의 행군에 동원되었다. 그는 독일의 작센하우젠 수용소로 옮겨졌다. 1945년 4월, 소련군이 작센하우젠 수용소를 해방시키자 토마스는 고아원으로 보내졌다. 친척들이 그를 찾았고 그는 괴팅헨에서 어머니를 다시 만났다. 1951년, 그는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아이템 보기1939년 9월, 독일은 폴란드를 침공하였다. 독일의 점령 이후, (당시 불과 세 살이었던) 사라(Sarah)와 그의 어머니는 게토로 이주하도록 명령받았다. 어느 날, 폴란드 카톨릭신자 경찰이 이들에게 게토가 곧 철거될 것이라는 경고를 하였다. 그는 사라와 그 어머니에게 은신처를 제공하였다. 처음에는 그 경찰의 집에 머물렀으나 나중에는 감자 저장 창고로, 그 다음에는 그의 소유지에 있는 닭장에 머무르게 되었다. 소련군이 그 지역을 해방할 때까지 사라는 그 곳에서 2년 이상 은신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사라는 유럽을 떠나 1947년에는 이스라엘로 이주하였다가 1963년에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아이템 보기샤를린(Charlene)의 부모는 모두 지역 사회의 유태인 지도자였고 온 가족 모두가 지역 사회 활동에 적극적이었다. 샤를린의 아버지는 루보브 주립 대학의 철학과 교수였다. 1939년 9월 1일,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었다. 샤를린이 살던 도시는 1939년, 독일-소련의 비밀 조약으로 소련령이 된 동부 폴란드에 위치하고 있었다. 소련 점령하에 가족들은 살던 집에 머물러 있었고 샤를린의 아버지도 계속해서 대학에서 가르치는 일을 계속할 수 있었다. 1941년 6월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였을 때, 독일군은 샤를린이 사는 지역을 점령하고 샤를린의 아버지를 체포하였다. 그리고 그녀는 아버지를 다시는 보지 못했다. 샤를린과 어머니 그리고 여동생은 독일이 호로호바에 설치한 게토로 이주하였다. 1942년, 샤를린과 어머니는 게토가 파괴된다는 소문을 듣고 게토를 탈출하였다. 여동생은 그들과는 떨어져서 은신처로 들어가기로 되어 있었으나 그 후 어떻게 되었는지 다시는 소식을 듣지 못하였다. 샤를린과 어머니는 강변의 수풀 아래 숨기도 하고 강물 속으로 숨기도 하면서 발각되는 것을 면했다. 그들은 며칠간 숨어 있었다. 어느날, 샤를린이 깨어 보니 어머니는 사라지고 없었다. 샤를린은 호로호바 인근의 숲에서 혼자 지내면서 살아가다가 소련군에게 해방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그녀는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아이템 보기리디아(Lidia)는 헝가리 북동부 작은 마을인 사로스파타크에 사는 유태인 부모의 두 딸 중 작은 딸로 태어났다. 리디아의 부모는 성공한 포목 상인이었다. 당시 시골은 아직 기성복이 그리 흔하지 않았다. 작은 마을 사람들이나 농민들은 레보비츠의 가게에서 천을 사서 양장점이나 재봉사에게 가져가서 옷을 만들어 입곤 했다.
1933-39: 리디아가 두 살이 되던 해에 수년 전에 미국으로 이민을 갔던 사디(Sadie) 이모가 두 자녀인 아르투르(Arthur)와 릴리안(Lillian)을 만나러 방문했다. 그래서 모든 사촌들이 할아버지의 집에 모여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미국으로 돌아가는 길에 리디아의 이모가 탄 배가 독일 함부르크에 정박했을 때 사디 이모는 나치가 도로를 행진하는 것을 보았다. 사디 이모는 사로스파타크에 남은 가족들에게 생길 일들에 대하여 걱정하였다.
1940-44: 1944년, 독일군은 헝가리를 점령하였다. 침공 한 달 후, 헝거리군 헌병들은 나치의 명령으로 리디아와 그 부모를 집에서 쫓아내었다. 레보비츠 가족은 수백 명의 유태인들과 함께 지방 시나고그에 모여 삼 일을 지냈다. 그 후, 그들은 모두 인근 사토랄야우헬리의 게토로 이송되었다. 집시 구역내에 설정된 그 게토에는 15,000명의 유태인들이 수용되어 있었다. 그 게토 주민들을 먹을 것이 충분치 않아 괴로움을 당하였다.
1944년 5월과 6월, 게토는 폐쇄되었다. 게토의 모든 유태인들은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다. 이후 리디아와 그녀의 부모가 어떻게 되었는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아이템 보기토마스(Tomas)의 부모는 유태인이었다. 그의 아버지인 로베르트 쿨카(Robert Kulka)는 모라비아 도시인 올로무크에서 사업을 하였다. 그의 어머니인 엘사 스쿠테쯔카(Elsa Skutezka)는 모라비아의 수도인 브루노 출신의 여자 모자 상인이었다. 이들 부부는 학력이 높은 사람들로서 체코어와 독일어를 구사할 줄 알았다. 그들은 1933년에 결혼하여 로베르트의 고향인 올로무크에 정착하였다.
1933-39: 토마스는 그의 부모님이 결혼한 후 일년 하루 만에 태어났다. 토마스가 세 살 되던 해에, 그의 조부모가 세상을 떠나자 쿨카 가족은 어머니의 외가가 있는 브루노로 이주하였다. 토마스의 다섯 번째 생일을 며칠 앞둔 1939년 3월 15일, 독일군은 브루노를 포함한 보헤미아와 모라비아를 점령하였다.
1940-42: 1940년 1월 2일, 독일인들은 토마스와 부모 그리고 조부모들을 집에서 쫒아냈다. 가족의 사업을 구하고자 토마스의 아버지는 브루노에 남기로 결정하였다. 토마스는 유태인이었기 때문에 학교 입학이 허락되지 않았다. 일 년 후, 독일 정부는 토마스의 부모에게 그들의 사업을 독일인에게 단돈 200체코 크라운(10달러 미만의 금액)으로 팔도록 강요하였다. 1942년 3월 31일, 쿨카 가족은 서부 체코슬로바키아의 테레지엔슈타트에 위치한 게토로 강제 이주되었다.
1942년 5월 9일, 톰마스는 소비보르 집단 학살 수용소로 이송되어 가스실에서 죽었다. 그의 나이는 7세였다.
아이템 보기헤노흐(Henoch)의 유태인 부모는 매우 종교적인 분들로서 1937년에 결혼하였다. 그의 아버지인 모이세 코른펠트(Moishe Kornfeld)와 그의 어머니인 리바 살레슈츠(Liba Saleschutz)는 헤노흐의 어머니가 자란 콜부스조바에 정착하였다. 거기에서 리바의 아버지는 신혼 부부를 데리고 사위와 함께 포목 도매 사업을 하였다.
1938-39: 헤노흐는 1938년 말에 태어났다. 그는 많은 이모와 삼촌들 사이에서 자라났다. 헤노흐의 첫돌 무렵, 독일은 폴란드를 침공하여 콜부스조바로 진격하였다. 말 탄 폴란드 군인들은 독일군에 대항하여 싸우고자 하였으나 탱크 앞에서는 당할 수가 없었다. 짧은 전투 끝에 거리에는 죽은 말들로 넘쳐나게 되었다. 헤노흐의 마을은 독일군이 점령하게 되었다.
1940-42: 어린이를 포함한 마을의 모든 사람들은 사나운 불독을 닮은 독일 경찰 서장, 하펜비에르(Hafenbier)를 알게되었다. 하펜비에르는 마을의 많은 유태인들을 협박하고 죽였다. 헤노흐는 종종 마을의 다른 어린이들과 어울려 놀면서 하펜비에르 흉내를 내곤 했다. 그는 “네가 유태인이면 넌 벌써 죽었어."라고 하고 놀았다. 그리고 나무로 만든 총을 들고 헤노흐는 그의 친구들을 “쏘곤” 하였다. 그러면 그들은 쓰러져서 죽은 척 하곤 했다.
헤노흐와 그의 가족은 1942년 6월 25일, 르제쪼로 수송되었다가 7월 7일, 벨제크 대량 학살 수용소로 이송되어 가스실에서 사망하였다. 당시 헤노흐는 3세 반이었다.
아이템 보기르네이트(Renate)와 그녀의 쌍둥이 형제 르네(Rene) 그리고 그들의 독일계 유태인 부모님는 프라하에 살고 있었다. 쌍둥이가 태어나기 직전, 르네이트의 부모는 유태인에 대한 나치 정부의 정책에 대항하기 위하여 독일의 드레스덴으로 도주하였다. 독일을 떠나 체코슬로바키아로 이주하기 전, 르네이트의 아버지 헬베르트(Herbert)는 수입 수출업에 종사하였다. 그녀의 어머니 이타(Ita)는 회계사였다.
1933-39: 우리 가족은 프라그의 #22 트롤리 노선에 있는 6층 건물에 살았습니다. 길고 가파른 계단을 올라가야 우리 아파트로 갈 수 있었는데, 거기서 제 남동생 르네와 저는 부모님의 침실 안에 있는 아기 침대에서 같이 잤습니다. 베란다에서는 마당을 내려다 볼 수 있었습니다. 르네와 저는 똑같은 옷으로 늘 잘 차려 입었습니다. 우리는 근처의 공원으로 자주 놀러가곤 했습니다. 1939년 3월, 독일군은 프라하를 점령했습니다.
1940-45: 제가 6살이 되기 직전에 우리는 테레지엔슈타트 게토로부터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습니다. 거기서 저는 #70917이 되었습니다. 저는 제 동생, 어머니와 헤어져 병원으로 보내졌습니다. 거기서 저는 여러 가지 측정도 하고 X-레이도 찍고, 목에서 혈액도 채취했습니다. 한번은 사람들이 테이블에 저를 묶어 놓고 칼로 자르기도 했습니다. 저는 주사를 맞고 토하거나 설사를 하기도 했습니다. 주사를 맞고 병원에서 아파 있는 동안, 경비원들은 아픈 사람들을 데려가서 죽였습니다. 저를 간호하는 간호사는 경비원이 갈 때까지 저를 그 분의 긴 치마에 숨겨주기도 했습니다.
르네이트와 그녀의 남동생은 살아남아서 1950년, 미국에서 다시 만났다. 그들은 자신들이 “멩겔레 쌍둥이”의 한 사례로 의학 실험에 참여하였었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되었다.
아이템 보기지그문트(Zigmond)의 부모님은 벨기에로 이민한 체코슬라비아계 유태인이었다. 그의 어머니 리브카(Rivka)는 셔츠를 만드는 사람이었다. 그녀는 안정된 직업을 찾아 젊은 나이에 오빠인 제르미(Jermie)를 따라 벨기에로 왔다. 오빠인 제르미는 가족을 이끌고 그보다 몇 년 전에 리에그로 이사온 터였다. 리에그에서 리브카는 사업가인 오토 아들러(Otto Adler)를 만나 결혼하였다. 결혼 후 그들은 아이들을 낳고 단란한 가정을 꾸미고 싶어했다.
1933-39: 1936년, 지그문트는 아들러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그의 어머니는 일 년 후에 돌아가셨다. 그의 아버지는 재혼하였으나 두 번째 결혼은 오래 가지 못했다. 지그문트의 아버지는 세 번째로 결혼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지그문트에게는 이복 자매들이 생겼고 가정은 안정되었다. 어린 지그문트는 가끔 몇 블록 가량 떨어진 제르미 삼촌 가족을 방문하였다.
1940-44: 독일이 벨기에를 점령하였을 때 지그문트는 세 살이었다. 이 년 후, 독일인들은 그의 아버지를 강제 노동 수용소로 보냈다. 이후에 지그문트의 새 어머니는 리에그를 떠났고 지그문트는 제르미 삼촌과 차예(Chaje) 숙모에게로 보내졌다. 나치가 유태인들에 대한 일제 단속을 실시할 때, 카톨릭 신도였던 제르미 삼촌의 친구들은 그들에게 위조 서류를 만들어주고 유태인 신분을 숨기고 인근 농촌에 집을 빌리도록 도와주었다. 이년 후, 어느 일요일 아침에 게슈타포가 집으로 들이닥쳤다. 그들은 유태인이 살고 있다는 것을 의심한 것이다.
지그문트와 그의 숙모 그리고 두 사촌들은 메엘렌 임시 수용소로 옮겨졌다가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다. 7살에 불과하던 지그문트는 1941년 5월 21일, 아우슈비츠 가스실에서 숨졌다.
아이템 보기1939년,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였다. 브리기테(Brigitte)와 그녀의 가족은 북아메리카로 이주할 비자와 여권을 발급받고자 코프노로 이주하였다. 1941년 7월, 독일이 리투아니아를 정복한 후, 브리기테와 그녀의 가족은 코프노 게토로 강제 이주당했다. 브리기테의 가족은 “대 작전(Great Action)”에서 살아남았다. 그러나 그녀의 어머니는 게토에서 병사하였다. 1944년 3월, 어린이를 목표로 하는 일제 검거 이후, 브리기테는 아버지의 전 직원의 도움으로 게토를 탈출하였다. 1944년 8월, 소련은 코프노를 해방하였다.
아이템 보기
We would like to thank Crown Family Philanthropies, Abe and Ida Cooper Foundation, the Claims Conference, EVZ, and BMF for supporting the ongoing work to create content and resources for the Holocaust Encyclopedia. View the list of donor acknowledgement.